[질문]
메가스터디나 ebs 등의 교육사이트 들과 비슷하게
동영상 서비스 사이트를 생각하고있는데요
이런 사이트 들은 초기 비용과 운영비용들이 얼마나 나올까요
수천수만명의 접속자가 동시접속하고 스트리밍하면 그 호스팅비용에 다운로드시엔 DRM기술 등을 포함해서 불법다운도 잘 안되게하고 캡쳐도 안되게하는 등의
보안적인것도있겠구요....
이런 사이트들은 어느정도의 구축비와 월유지비 궁금합니다.
  
[답변]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의 구축을 고민중이신듯 합니다. 
메가스터디나 EBS등의 교육사이트들에서 많이 사용되는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 제작기술은 일반적인 온라인강의나 동영상강의사이트에서 제작되는 방법과는 차원이 다른 기술입니다. 
예상하시듯이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동영상을 재생하고, DRM기술 등을 통하여 복제를 방지하고, 보안기술 등을 통해서 캡쳐등을 막기 위해서는 해당 기술들의 난이도에 따라서 각각의 견적 요소가 수배에서 수십배 이상의 차이가 날수가 있습니다. 
흔히 웹사이트 제작하는것을를 건물짓는것과 많이 비유를 하고 있습니다. 
건물 짓는데 가격이 얼마나 들것인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용도, 위치, 층수, 사용자수, 지반공사, 엘리베이터유무, 자재의 품질, 시공법, 시공사, 시공법, 인테리어퀄리티 등의 다양한 요소에 따라서 건물의 가격이 결정이 될것입니다. 그 요인 하나하나의 차이가 건물에 있어서 가격 차이가 엄청나듯이 웹사이트 및 스트리밍 사이트의 제작비용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특히 동시에 수백명이 사용하는 것물과 수천만명이 사용할 건물을 같은 공법으로 지을수 없듯이 하중과 층수를 담당하기 위해서 후자의 경우 시공법의 선정 또한 쉽지 않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서는 2층짜리 건물과 60층짜리 건물의 제작비용이 30배 차이가 아니라 수천배 이상의 차이가 날수 있듯이 웹사이트 또한 작은 요인들에 따라서 달라지게 됩니다. 
웹서비스는 오프라인상의 서비스와는 다르게 사용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됩니다. 어느시점에서 서버 및 네트워크 증설을 해야지 하는 전략을 구현하는것도 쉽지가 않습니다. 사이트가 느리다 싶어서 증설을 계획한다면 이미 사용자들은 경쟁사이트로 이전하는 현상들을 쉽게 찾아볼수 있을것입니다. 
이런 이유에서 전문적인 IT컨설턴트의 컨설팅을 통해서 구축 이전에 다양한 점검을 진행해 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유료 스트리밍 및 동영상 사이트 제작을 제작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크게 생각해 보면..
1.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기반의 사이트
2. 맞춤형 사이트 제작
3. CP구조의 사이트
등의 제작방법을 검토해 볼수가 있습니다.
 
LMS기반의 사이트의 경우 네이버 검색창에서 해당 키워드를 입력하시면 다양한 솔루션 업체를 채크하실수 있습니다. 이 방법은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구성할수가 있지만, 컨텐츠의 경쟁력이 없다면 쉽게 경쟁구조로 진행될수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어느정도 이상의 트레픽 및 동영상 진행시에 솔루션의 범위를 벗어나기 때문에 네트워크 구성 및 솔루션 재개발을 진행해야 합니다.
아마 일정 요금을 내면 관리해준다는 범위가 여기에 속하지 않을까 합니다.
유사한 동영상을 제작할수 있는 여건이라든지, 영상소스상의 보안문제로 인해서 추천드리지 않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초기 단계에 구축비용이 낮게 책정되어있는 상황이라면 이 방법도 무난할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맞춤개발의 경우. 요구하는 사양에 맞게 네트워크 설계에서부터 구축까지 진행될수 있는 방법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수익모델을 내고 있는 사이트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한계 유저수를 확장하기 쉽고, 사이트 보안 정책에 따라서 영상의 소스보안이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투입인력당 비용을 산정하는 방법이라 개발비용이 다소 고가에 속합니다. 개발범위 및 사이트의 예상 사용자 수에따라서 다양한 경우의 수와 견적비용 편차가 극심한 방법입니다. 요구사항에 대해서 정확히 정리를 하신후 맞춤형 개발을 전문으로 하는 업체를 통해서 견적을 진행해 보실것을 추천드립니다.
 
CP구조의 사이트 제작의 경우 2가지로 해석을 해볼수가 있습니다. CP를 제공해야 되는 성격과, 공급을 받는 성격을 나눠서 고민해 볼수가 있